이건 경제학자 베123네틱3트 헤12르만 팀이 진행한 실험임

공공재 게임이라고 인문사회에 관심 있다면 몇번 들어봤을 게임임
나라면 게임에 참여했을 때 얼마를 낼지 생각해보면서 읽어보면 재밌음

공공재 게임에 참석한 참가자들에게 사회자는 각각 20달러를 제공함
20달러씩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사회자가 이렇게 질문함

"사회 공공기금으로 얼마를 내시겠습니까?"

사회자는 사람들이 낸 공공 기금의 액수에서 두배를 불림
그리고 공공기금의 두배를 뿜빠이해서 사람들에게 돌려줌

예를 들어서 네 명의 참가자가 각각 10달러씩을 내면 공공 기금은 40달러가 되고
사회자는 그걸 두 배, 80달러로 만들어서 4명에게 나눠주는거임
네 사람이니까 20달러씩을 받게 되겠지?
10달러를 공공 기금으로 내고 20달러를 받았으니 10달러 이익을 얻은 거임

하지만 공공 기금을 굳이 낼 필요는 없음
굳이 내지 않아도 공공 기금은 참가자 모두에게 분배됨
위의 사례에서 참가자 4명 중 양심이 좀 아픈 한 사람이 기부금을 아예 내지 않았다면?
3명이 낸 30달러가 모이고 공공기금 두배는 60달러, 사람들에게 나눠주면 각각 15달러씩 받게 되지

10달러 내고 20달러 받을땐 10달러 이익
아예 내지 않고 15달러 받을땐 15달러 이익
이 게임에선 반드시 무임승차자가 발생하게 됨

그래서 이 게임엔 제도가 하나 도입되어 있음
내 돈 1달러를 내면 다른 사람 한 명을 지목해서 그 사람이 받을 기금을 없앨 수 있음
내가 1달러를 내도 나에겐 아무런 이득이 없고, 그저 다른 사람이 공공 기금을 받지 못하게 할 수 있음
무임승차자가 배아프다면 이 사람에게 갈 돈을 차단하면 됨

이 게임을 10회에 걸쳐서 진행하게 됨

1. 공공재 게임을 함께 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아무런 정보와 신뢰가 없는 첫 판에서, 나는 내가 가진 20달러 중 얼마를 공공 기금으로 낼 것인가?
2. 이기적으로 굴어서 무임승차할 것인가, 많이 내고 많이 돌려받을 것인가?
3. 다른 사람들을 얼마나 믿을 수 있는가?
4. 내 1달러를 지불하고 다른 사람에게 갈 공공 기금을 차단할 것인가?
5. 마지막 10번째 판에서는 다른 참가자들을 어느 정도로 믿을 수 있게 되었는가?



전 세계 16개 도시에서 게임을 진행했고
꽤 흥미롭게도 문화권 별로 세 가지 유형의 결과가 나타났음
Screenshot_20190123-073050_Whale.jpg

1유형) 높은 신뢰, 높은 기금: 쌀국 보스턴, 덴국 코펜하겐, 알프스국 장크트갈렌

처음부터 참가자들이 많은 돈을 기금으로 지불함
무임승차자가 발생해도 꽤 많은 돈이 지불되고, 무임승차자 역시 적게 발생함
타인에 대한 신뢰가 높은 걸로 해석됨

2유형) 믿을 수 있다면 높은 기금: 펄럭 한양, 쿨럭 청두, 캥국 멜버른

첫 판에선 중간에 해당하는 10달러 가량을 지불함
이후 참가자들이 무임 승차자를 처벌하기 시작함
무임 승차자가 처벌되고 제도가 확실히 작동하는 것이 확인되면 기금을 높게 내기 시작함
마지막 판에서는 한양이 참가국들 중 가장 높은 기부금을 내는 걸 볼 수 있음
타인을 신뢰하기보단 사회적 제어, 처벌을 신뢰함
+2유형에서 발생한 무임승차자들은 초반에 무임승차했어도 후반으로 가면 다른 사람들처럼 높은 기금을 냄

3유형) 공동체 참여 거부: 케밥국 이스탄불, 사우디 리야드, 그리스 아테네

처음 시작부터 낮은 기금으로 출발함
3유형 역시 2유형처럼 1달러 처벌이 작동하는데 2유형처럼 기부금이 높아지지 않음
그 이유는 1달러 처벌을 받은 무임승차자들이 다른 사람에게 복수를 시작하기 때문
계속해서 자신의 돈을 지불해 다른 사람들에게 갈 돈을 깎음
결국 참여자들 간 신뢰는 똥망이 됨

3유형에서는 특이하게 반사회적 처벌이 관측됨
자기 돈을 써서 오히려 기금을 낸 사람의 돈을 깎아버리는 거임
마치 기금에 참여하는 행위 자체에 대한 반발이 심한 것처럼 보였음
Screenshot_20190123-073127_Whale.jpg

이렇게 나뉜 유형은 세계가치관조사에서 각 문화권 사람들이 응답하는 가치관과 일치함

직관적으로 다른 참가자들과 협력하겠다는 선택지를 고른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도 파트너를 신뢰하는 경향이 강했음

2유형의 특징은 사회적 약속에서 이탈하는 개인에 대한 반감이 강하다는 것
3유형의 특징은 탈세, 무임승차 등 개인 이익을 위해 공공선을 해치는 행위에 대해 무덤덤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임

대체로 각 문화권 사람들이 사회적 협력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지, 협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어느 정도 효율을 낼 수 있을지 파악할 수 있는 실험이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