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hygall.com/231038807
view 27134
2019.09.16 23:13
개붕적으로는 좀 멍하게 생각하는 시간이 많아지고 차분해지는듯(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임. 일반화하려고 하는 건 아님)

ㅅㅌ상의 이유로 지금 천문학을 겉핥기 식으로 공부하고 있는데 단위자체가 다른 학문에 비해 넘사로 커서 그런것도 있는듯.

예를 들면 별의 수명에 관해 말할때, 온도가 너무 높은 별은 그것보다 낮은 별에 비해 수명이 매우 짧아서 발견이 어렵다고 함.
근데 막상 수명이 매우 짧다는 그 별도 100만년은 기본으로 깔고 사는게 대부분임.
가장 가까운 별인 태양만 하더라도 1억 5천만km임 빛의 속도로는 8분정도가 걸린다고 함.
가볍게 계산해보면 빛이 1초에 지구를 7바퀴 반정도 감으니까 60*7.5*8로 지구를 8000번 감을 거리임.
이런 식으로 생각하게 되는 단위 자체가 커지고 하니까 뭔가 나는 이렇게 작고 우주에 비해서는 티끌만큼도 안되는 시간을 살면서 모든거에 일일히 화내고 신경쓰는게 조금 힘 빼는 일처럼 느껴지게 되었음.

그리고 갠적으로는 사람을 대하는 생각도 좀 바뀌었음

나붕이 천문학에서 젤 흥미있게 본 곳이 우리가 보는 별과 현재 별의 차이인데
이게 뭐냐면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별은 진짜 현재의 별의 모습이 아니란 거임

우리는 별에서 나오는 빛을 인식해서 별의 모습을 보는데 그 별이 우리 눈에 도달해야지 비로소 인식하는 거임
그래서 멀리 떨어져 있는 별에서 나온 빛이 내 눈에 도달하기까지 걸린 시간만큼 차이가 발생하게됨.

가장 흔한 예시가 태양임.
 
201710061712520707_1.jpg
아까도 말했다시피 태양에서 지구까지는 빛의 속도로 8분이 걸림 정확히 말하면 8분 20초지만, 암튼 우리가 보는 태양은 8분전의 태양인거임.
만약, 태양이 폭발해도 우리는 그후로도 8분 동안은 태양이 계속 멀쩡하다고 생각하게됨.

가장 가까운 태양만 하더라도 이렇게 차이가 나는데 다른 별들은 어마어마함

큰개자리.png
시리우스는 가장 밝게 빛나는 별이라는 별명을 가진 별임. 태양보다도 23배 정도 밝음
이 별은 지구에서 8.6광년 떨어져있는데 약 8.14*10^16m임 어마어마하게 멀리 떨어져있음.
우리는 이 별의 8.6년전 모습을 보고 있는 거임. 

가장 멀리 떨어진 별이라는 GN-z11란 별은 134억광년만큼 떨어져있다고함. 즉, 134억년전의 모습을 우리가 보고있는거임

145710219501_20160305.jpg
이렇게 진짜 별의 모습이랑 내가 지금 바라보고 있는 별의 모습이 같은 시간이라는 공간에서 바라봄에도 이렇게 차이가 난다는 걸 보고
사람도 이럴것 같다고 생각하게됨.

내가 지금 보고있는 옆의 사람이 진짜 어떤 모습인지는 나는 판단할 수 없고, 내가 보는 모습은 어쩌면 그 사람의 과거일 수 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음.
그러면서 사람들을 함부로 판단하기 어려워졌더라...더 조심스럽게 접근하게 되기도 했음

천문학이라는게 공부해야하는 것도 많고 물리학이랑 많이 섞이는 편이라 좀 어렵기도 하지만 공부할 수록 뭔가 생각이 깊어지게 되는 것 같음
2019.09.17 12:31
ㅇㅇ
모바일
ㄱㅆ붕아 궁금한게 있는데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나도 취미로 천문학 공부하려는 중인데 무턱대고 지구과학부터 파려니까 모르는 용어랑 공식 같은게 많아서ㅋㅋㅋㅋㅋ큐ㅠㅠㅜ 혹시 물리 먼저 공부했음? 아님 천문학 공부 전에 먼저 공부할게 따로 있나..?
[Code: 77fc]
2019.09.17 15:11
ㅇㅇ
모바일
[작성자가 삭제한 댓글입니다.]
[Code: adf4]
2019.09.17 15:12
ㅇㅇ
모바일
ㄷㅆ 아아 그렇구먼 따흐흑 증말 코맙다 우주 넘나 조아서 관련된 화학이랑 물리도 같이 공부해야지 희희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Code: 2ea1]
2019.09.17 12:50
ㅇㅇ
모바일
천문학 ㄷㄱ
[Code: 8fc3]
2019.09.17 15:37
ㅇㅇ
모바일
천문학ㄷㄱ
[Code: 01ad]
2019.09.17 16:33
ㅇㅇ
모바일
천문학 ㄷㄱ
[Code: cebe]
2019.09.17 16:38
ㅇㅇ
모바일
이것도 그렇고 우주를 이해하려는 여러 이론들 참 재밌는 거 많더라 끈 이론과 인도 요가의 연관관계가 가장 흥미로웠음 ㅋㅋㅋ 그 저자가 주장하는 일종의 연관성인데 결국 우주의 모든 것은 파고 파고 파고 들어가면 끈 모양으로 연결된 것인데 그러한 과정을 탐미하려면 요가와 닮아 있다라는 게 신기 ㅋㅋ
[Code: e160]
2019.09.17 17:37
ㅇㅇ
모바일
천문학 ㄷㄱ
[Code: 5df0]
2019.09.17 22:26
ㅇㅇ
모바일
뭔가 ㄱㅆ 진중한 성격인거같다ㅇㅁㅇ 난 우주책 볼때 걍 싱기방기하고 지나갔는데..
[Code: 1830]
2019.09.18 03:01
ㅇㅇ
모바일
나붕도 비슷한 생각을 했는데 지금 내 옆에 있는 사람이 나와 같은 시간선상에 있지 않고 어쩌면 그 사람에겐 과거 혹은 미래, 어쩌면 나와 같은 현재에 살고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됨..
항상 모든 사물은 관찰자에 따라 다르고 상대적이다 라고 생각을 하게 됨
[Code: 85b0]
2019.09.20 13:47
ㅇㅇ
모바일
천문학 ㄷㄱ
[Code: 66ef]
2019.10.18 16:17
ㅇㅇ
모바일
천문학 ㄷㄱ
[Code: d357]
2019.10.21 01:20
ㅇㅇ
모바일
진짜 이런거 너무 좋음ㅠㅠㅠ 나중에 꼭 천문학 공부하고싶다ㅠㅠ
[Code: d2d4]
2020.08.12 10:15
ㅇㅇ
모바일
천문학 ㄷㄱ
[Code: 5249]
댓글 작성 권한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