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hygall.com/506435095
view 10734
2022.11.09 01:36
~~~수혜라고해서 거저먹었다는 뜻 아님 다들 그만큼 연구 많이 한거 알고있음~~~



한때 중국기사들 초강세 일때 펄럭이랑 역량 차이나던 부분이 포석(초반에 진지공사 하는거)이었는데
중국기사들이 포석을 집단연구로 ㅈㄴ 깊게 파가지고
당시 포석 유행은 다 중국에서 왔단말임
안그래도 인재풀이 넘사인데 그 인재들 nn명 모아놓고 집단으로 연구 시키니까
근데 그런 중국보다 포석에 강한 ai가 등장해벌임

ai가 아무것도 없는 허허벌판 즉 무한한 가능성안에서 유불리 따져서 초반 승기 잡는건 잘하는데
후반 수읽기나 끝내기에선 아직 좀 약하거든
반대로 펄럭기사들은 포석이 약하고 중반부터 뒤집는 양상이었는데
ai로 연구하면서 포석을 존나 잘두게됨
현재 ai랑 일치율 제일 높다고 알려진 기사가
세계랭킹 1위인 펄럭의 신1진서인디
중국의 ㅋ ㅓ제가 진서한테 지고나서 "사람 맞나? Ai랑 두는거같았다" 이런말을 했었음
이게 칭찬같지만 사실 팬들 사이에선 돌려까는거란 평이 많았던게
기사의 기풍이 제일 드러나는게 초반 50수인데 그걸 ai랑 똑같이 두니까 개성이 없다는거지
그것도 좀 된 얘기인데 시간이 지나서 보니
결국 ai를 제대로 팠던 펄럭 기사들이 치고올라갔고
본래 자기만의 스타일을 고수했던 중국기사들이 밀리는거보면
기존의 패러다임이 바뀔때 가장 빨리 받아들이는 사람이 승자인 세상이 온거같음
근데 또 바꿔말하면 결국 두뇌스포츠도 인간의 싸움인데
기계를 닮으려고 할수록 승률이 올라가는 세상이 된거니까
프로바둑계에 회의감이 팽배하다는 소문도 이해가 됨
2022.11.09 01:43
ㅇㅇ
모바일
헐 신기 근데 개성 얘기하는거 보니 ai 바둑은 다 비슷하게 두는건가?
[Code: 38e9]
2022.11.09 01:44
ㅇㅇ
모바일
기존의 패러다임이 바뀔때 가장 빨리 받아들이는 사람이 승자인 세상이 온거같음

오 이말 뭔가 생각하게 만든다
[Code: 8d1b]
2022.11.09 01:49
ㅇㅇ
모바일
바둑뿐만 아니라 ㄹㅇ 기업에서 맨날 미래 먹거리 찾고 그러는 이유가 있는듯.. 살아남아야 하니까
[Code: f385]
2022.11.09 02:09
ㅇㅇ
모바일
222 뻘이지만 빝코1인 생각남 투기말고 블록체인 기술 초반에 받아들인 사람들
[Code: c1aa]
2022.11.09 02:36
ㅇㅇ
모바일
333
[Code: 3305]
2022.11.09 03:04
ㅇㅇ
모바일
이거보니까 생각나는 연구가 있는데 원숭이집단에 새로운 먹이지급방식을 도입했더니 젤먼저 받아들이는게 젊은암컷이고 젤늦게 받아들이는게 늙은수컷이더라 인간세상도 비슷한듯 젊은이들이 먼저, 여성이 먼저
[Code: 43b8]
2022.11.09 01:50
ㅇㅇ
모바일
기계를 닮으려고 할수록 승률이 올라가는 세상이 된거니까
프로바둑계에 회의감222 언젠가는 이렇게 될 걸 알았지만서도 참
[Code: eeb3]
2022.11.09 01:55
ㅇㅇ
모바일
기존의 패러다임이 바뀔때 가장 빨리 받아들이는 사람이 승자인 세상이 온거같음

오 ㄹㅇ...이건 대부분의 분야가 그런듯
[Code: e643]
2022.11.09 01:56
ㅇㅇ
모바일
어차피 ai도 사람이 두는 바둑 바탕으로 짜여진 프로그램인데 기보보고 공부하는거랑 뭐가 다른지 싶음 암튼 잘 써먹는게 좋다는 뜻임ㅋㅋㅋ
[Code: 21af]
2022.11.09 02:08
ㅇㅇ
모바일
222 걔네도 다 기보보고 학습 발전시킨건데
[Code: e650]
2022.11.09 02:00
ㅇㅇ
모바일
오 재밌당 똑똑해
[Code: 73b3]
2022.11.09 02:04
ㅇㅇ
모바일
바둑도 개성이란게 있구나.. 되게 심오한 스포츠네
[Code: f9ad]
2022.11.09 02:08
ㅇㅇ
모바일
기사들이 수를 놓으면 그걸 판으로 기록하는데(바둑알마다 몇번째 수인지 숫자 붙어있음) 그걸 보면 다 똑같은 수가 없고 또 기사들마다 그 방식이 다 다르대
[Code: a7ed]
2022.11.09 02:27
ㅇㅇ
모바일
이 글 돈주고 봐야 할 거 같다 ㅋㅋ이야
[Code: ef06]
2022.11.09 02:32
ㅇㅇ
모바일
뭔가 카메라 생기기 시작할때랑 비슷한것 같은 느낌도 들고..ai가 많은걸 대체하고 편리하게는 하겠지만 한계가 있을 것 같고...그 한계점에서 어떤분야든 새로운 방식이 나타나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 바둑도 마찬가지고
[Code: fbdc]
2022.11.09 02:47
ㅇㅇ
모바일
회의감드는건 어쩔 수 없겠지만 ai로 학습해서 그대로 구사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굉장한 일 같음
그리고 스포츠인 이상 개성보다는 기술이지
피겨도 예술성 중요하지만 일단 점프를 잘도는게 가장 중요하잖아
[Code: b3ed]
2022.11.09 03:29
ㅇㅇ
모바일
좋은글이다
[Code: 0685]
2022.11.09 04:45
ㅇㅇ
모바일
일단 인공지능 자체가 사람거 보고 배우는 애들이고 만들어진것도 사람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스스로 발전할 수 있다해서 인간이 패배감 가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애초에 스스로 학습할수 있는 기계가 나오길 바라는 마음으로 그걸 만든건 인간인데 진짜로 되니까 우린 인간은ㅠㅠㅠ하는거가 말이안됨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 인간은 그걸 도덕적이고 인문학적으로 풀어나갈 의무가 있고 그렇게 할수있기 때문에 인간이잖아 아직 인공지능은 도달하지 못한 어쩌면 평생 하지 못할 단계 오히려 이걸로 그동안 바둑에서 소외됐던 사람들이 새로 생겨나면서 패러다임이 또 바뀌게 될거임 애초에 스포츠만큼 기술발전이 중요하면서 동시에 그걸 인간이 해내는걸 원하는 장르가 없음ㅋㅋㅋㅋ세계 최고의 바둑 기사가 인공지능이어도 결국 사람들이 원하는 서사와 스포츠 감동과 눈물은 사람들한테서 나오니 의미도 사람에게서 나오고 사람들의 바둑경기는 계속 될거임 인공지능 보다 오히려 코딩에 인재 뺏기는걸 더 걱정해야함ㅋㅋ큐ㅠㅠㅠ
[Code: 15d8]
2022.11.10 10:57
ㅇㅇ
모바일
그러네 '인공' 지능이니까 막 무생물인데 살아있는 생물처럼 느끼게 되는 이 감각을 좀 극복해야겠음(내가) ㅋㅋ큐ㅠㅠ
[Code: 8cda]
2022.11.10 10:58
ㅇㅇ
모바일
아 막줄 ㅋㅋㅋㅋㅋ ai가 코딩잘하게되는 그런게아니구 바둑학원 보낼거를 코딩학원에 보낸다는 그 말이구나 ㅋㅋ큐ㅠㅠㅠ
[Code: 8cda]
2022.11.09 05:05
ㅇㅇ
모바일
오 쏙쏙 읽힌다
기존의 패러다임이 바뀔때 가장 빨리 받아들이는 사람이 승자인 세상이 온거같음 오오
[Code: 900d]
2022.11.09 06:04
ㅇㅇ
흥미로운 글이다
[Code: 6709]
2022.11.09 07:30
ㅇㅇ
모바일
인간이 ai를 모방해야 되는 시대가 딴것도아니고 바둑에서 제일 먼저 시작이라니 뭔가 씁쓸하긴 하네
[Code: 9908]
2022.11.09 08:20
ㅇㅇ
모바일
오 신기해
[Code: 05f4]
2022.11.09 10:06
ㅇㅇ
모바일
나는 바둑을 ai보고 배우니까 기존의 보수적 분위기에서 교육받던 여성 기사들 실력이 올라갔다는 기사 보고 미묘했음...
[Code: 2655]
2022.11.09 11:57
ㅇㅇ
모바일
여류기사뿐만 아니라 ai 등장이후 전체적으로 모든 기사들 실력계속 상향평준화 되는중인데 특히 여류기사 중에 장기전을 위한 포석이 약했던 스타일이 많아서(대부분 초반에 싸움거는 스탈이 많고 그래서 바둑팬들중에 여성리그 관전을 더 즐기는 사람 먾음) ai 학습법에 더 수혜를 받긴할거임
[Code: e2f0]
2022.11.10 10:59
ㅇㅇ
모바일
기존의 패러다임이 바뀔때 가장 빨리 받아들이는 사람이 승자인 세상이 온거같음 <<< 진짜 공감된다
[Code: 8cda]
댓글 작성 권한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