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ㅇㅁㅇ
킹스맨의 교회씬이 ㄱㅇ 늙은소년의 원테이크+롱테이크 씬인 복도 장도리액션씬을 오마쥬한걸로 봄
이거 관련해서 감독이 완댜님한테 늙은소년 해당씬 참조할거라고 보라고 한건 이미 알거고 ㅇㅇ

여튼 ㄱㅇ 해당 연출을 오마쥬한 작품들이 꽤 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게 킹스맨이라 난 이걸로 예시를 들어서 설명해줌

그래서 그게 그거 오마쥬임 하고 말해주면
몇몆은 ?함 ㅋㅋㅋ
왜? 펄럭은 오마쥬=코스프레 패러디 or 복붙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늘어나서...ㅋㅋㅋㅋㅋㅋㅋ

같지않은데 왜 오마쥬냐고 되물음
같지 않다고 뽑은 포인트보면 늙은 소년은 횡스크롤 연출이고 킹스맨은 횡이 아님 이래서 헷갈려함
그래서 원테이크(한번에)+롱테이크(쉬지않고) 찍은 부분을 리스펙트한게 오마쥬다 라고 해줌

나도 전공한게 아니라서 구구절절 설명못하다보니 이런식으로 설명하는데 이게 가장 쉽고 빠르게 이해시킬수 있더라고ㅇㅇ

여담인데 보통 액션은 카메라시점(위치)이 끊어질때가 있는데 늙은 소년 오마쥬한것들 보면 시점이 끊어지지않음
오타쿠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원테이크+롱테이크씬은 움짤만들때 프레임끊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말하면 이해하기가 쉬울듯
실제로 킹스맨 교회씬은 움짤만들라고 초단위 찍다보면 프레임 지랄맞더라고....

패러디는 ㄱㅇㅁㅇ
붕붕이 사실 말벌출신이에요 (쥬스)쥬르륵
이게 패러디임ㅋㅋㅋㅋ
다들 원본을 아는경우 엌ㅋㅋㅋㅋㅋㅋ하잖아 이게 패러디임ㅋㅋㅋㅋㅋㅋ물론 좀 협소한 설명이긴한데 이렇게 말해주는게 이해가 가장 쉬웠음

레퍼런스는 사실 여기 끼어선 안된다고 보는데 너무 쓰는관계로...
걍 자료조사임 조별과제 자료조사....
정확히는 조별과제에 [참조문헌] 이게 레퍼런스임ㅋㅋㅋㅋ

뭐 영어로 하면 있어보이나? 자료조사임 걍
예를들어 쌀국의 작은 동네에서 벌어지는 음침하고 기괴한 사건이 나오는 영화, 드라마를 찍는다고 했을때
물론 창작을 해도 됨
근데 보통 대중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라는게 있잖슴 그리고 그게 잘먹히긴하고 ㅇㅇ

그래서 쌀국의 소도시가 나온 작품들이나 작은 동네에서 벌어진 기괴한 사건들이 나오는 자료들을 취합하는게 레퍼런스(자료조사)임
그러다보니 유사한것들이 뭉치게 되는데

예시기준으로 보자면
24시간 다이너(그 쌀국 다이너 하면 나오는 이미짘ㅋㅋㅋ)
개미새끼하나 안보이는 캄캄한 도로주변으로 펼쳐지는 산or숲의 풍경
마을에 있는 유일한 하이스쿨의 미식축구행사는 동네 주민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행사임
그리고 마을에서 외따로 떨어져있는 통나무집에 사는 괴팍한 어른이 등장함
마을에서 핍박받아 외로운데 탈출하지 못하는 소녀or소년같은 요소들이 영화,드라마에 나왔을때

어디서 봤는디....하게되는걸 생각하면됨
각각 따로 떼놓고 본다면 원안은 존재하는거라고 해야되나 ㅇㅇ

여기서 뻔한 전개로 가면 클리셰,스테레오타입(인물)인거고
그걸 깨면 클리셰파괴임

물론 정확히 설명하면 더 다르긴할거고 나도 전문가가 아니니 이게 백퍼 맞다! 라고는 못하는데
일단 저렇게 구분하면 쉬움

그리고 앞서 말한 예시를 묶은 작품에서

마을에서 핍박받던 소녀or소년이 초능력을 얻게 되었고
그 능력으로 마을에서 도망갈줄 알았는데 도망못가고 죽는 배드엔딩인 클리셰를 파괴하는 작품이 나왔다고 했을때
(보통 도망해피엔딩을 예상하게끔 짜고 만드니까 ㅇㅇ)

저 작품에서 나온 클리셰 파괴요소까지 똑같이 따라해놓고선
주인공이 소녀인걸 소년으로 바꿨고 괴팍한 어른없으니까 표절아님
하는게 현 펄럭 문화산업이 레퍼런스 방패들고 하는 짓이라고 봄
그래서 굳이 구구절절씀ㅋㅋㅋ

그럼 부분부분따서 쓰는건 표절이 아닌가? X

24시간 다이너?흔해빠짐 ㅇㅇ써도됨 참고자료 하세요 ㅇㅇ
근데 그 다이너의 인테리어같은 미학적인 부분이나
다이너를 배경으로 나오는 카메라워크부분이나
다이너를 어떠한 목적으로 등장시킴같은 이유가 같다면
난 그건 레퍼런스가 아니라 걍 표절이라고 보는편이긴함

이건 다른 예시를 들자면 자유롭게 춤추는 교주가 나온 뮤비를 보고 고걸 똑같이 따라한 ㄱㅇ뮤비생각하면됨

타인의 시선은 신경쓰지않고 내가 하고싶은대로 춤춘다 라는 포인트는 굳이 그 장소에서 보이지 않아도 되잖슴
물론 타인의 시선은 신경쓰지않고 춤춘다<라는 주제와 관련해서 자료조사할때 해당뮤비를 볼수있긴함 ㅇㅇ그게 레퍼런스임
아 이런식으로도 표현하는구나 하는거ㅇㅇ
근데 그걸 장소를 바꾸거나 연출을 바꾸지 않고 고대로 따라쓰는건 레퍼런스도 패러디도 오마쥬도 아니고 걍 게으른 표절임

막말로 걍 내기준 레퍼런스 타령하는 표절충들은
조별과제할때 걍 꾸글 검색해서 자료복붙해가지고 글씨체랑 피피티배경만 다르게 해서 주고난뒤에 난 레퍼런스 조사에 정리도 해왔으니 난 이제 할일다했다 이러고 뻗대는 새끼들이랑 똑같다고 봄 ㅋㅋㅋㅋ 꼴에 점수받을라고 얹혀가는거까지 똑같고 ㅋㅋㅋㅋㅋㅋ

여튼 이 어설픈 정리는 표절터질때마다 생각하던건데 ㅋㅋㅋ
혹시 나처럼 머릿속이 정리안되는 붕새끼들있음 정리할때 조금이라도 도움되라고 ㅋㅋㅋㅋ써봄....
2024.06.25 02:40
ㅇㅇ
모바일
오마주: 어! 이거!!
패러디: 엌ㅋㅋㅋㅋㅋ 이겈ㅋㅋㅋㅋㅋㅌㅌ
표절: 어…? 이거…???
[Code: 6004]
2024.06.25 03:16
ㅇㅇ
모바일
이것도 이젠 사라져야하는게 남들이 다 알아보고 대놓고 했는데 뭐가 표절이냐 알아봐주길 바라는 오마주지라는 쉴드 개많아짐ㅠ
[Code: 5718]
2024.06.25 09:16
ㅇㅇ
모바일
이거갖고와서 맨날 어어거리니까 개똑같은거도 티나니까 죄다 오마주패러디라고 우겨댐
[Code: be95]
2024.06.25 02:47
ㅇㅇ
모바일
펄럭 음악산업이 알맹이 없이 이쁜 거 보기 좋은 것만 따라하다가 이꼴 난 거 같음.. 아티스트 본연의 스토리나 개연성이 섞이면 비슷해보여도 다르고 아님 오히려 킹스맨처럼 본인만 영감받았다 하고 다른 사람들이 볼 땐 ? 어디가..? 싶은 구석들이 생기는데 알맹이는 시발 어따 다 갖다버려두고 게으른 미감만 남음 저게 왜 저런진 모르겠지만 뭔가 이쁘다! 뭔가 다르다! 갖다쓰자 ㅇㅈㄹ
[Code: 541d]
2024.06.25 05:15
ㅇㅇ
모바일
진짜 미장센을 고스란히 갖다쓰면 그게 무슨 오마쥬임 표절이지 오마쥬는 한 작품에서 보여준 개념을 가져다가 자기 식으로 해석하는 건데 자기 개인적인 해석이 1도 없으면서 오마쥬라고 빡빡 우기는 거 짜증남 ㅋㅋㅋㅋㅋㅋ
[Code: e870]
2024.06.25 05:58
ㅇㅇ
모바일
아 이거다ㅜㅠ통찰 없이 미장센만 똑 가져다 쓰고 (심지어 한 장면도 아님...전체적으로 베껴오면서) 오마쥬라고 하는거. 그 정도면 리메이크권 사오는것까지는 아니더라도 크레딧을 더 줘야되는거 아닌가 싶음
[Code: 9306]
2024.06.25 10:18
ㅇㅇ
ㄹㅇ 비주얼 요소 그대로 다 가져다 쓰는건 오마쥬가 아닌데 진짜 미장센 베끼기 한거지
[Code: 626c]
2024.06.25 17:20
ㅇㅇ
모바일
오마주 : 그거 없어도 전체 이야기/전개에 지장없음
표절 : 그거 없으면 안됨
뭐 대충 이 정도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글쓴붕 정리잘했다
[Code: 37ef]
댓글 작성 권한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