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hygall.com/597881902
view 9705
2024.06.22 22:14
7e8e120878b177e3f348ae07bf36c961.jpg
뭐 이런 오이가 비타민c를 파괴한다는 짤이 전에 돌아다닌 적이 있고 미디어에서도 그대로 사실인양 말하는데


Screenshot_20240622_140239_Samsung Internet.jpg

Screenshot_20240622_141023_Samsung Internet.jpg

파괴가 아니라 산화형 비타민인 디히드로아스코르브산으로 변형시키는 거고 이 산화형 비타민도 체내에서 환원형 비타민으로 잘만 변환됨
진짜로 비타민을 파괴하는 거였다면 체내 비타민은 어떻게 됐겠냐고요...상식적으로 좀만 생각해봐도 말이 안되는 건데
2024.06.22 22:42
ㅇㅇ
모바일
어쩐지 물 대신 오이 먹는데 자꾸 건강해지더라니
[Code: 5d0e]
2024.06.22 23:00
ㅇㅇ
모바일
호오 오이조아
[Code: 590c]
2024.06.22 23:43
ㅇㅇ
모바일
그럼 오이랑 당근같이먹으면 안좋다는건 아니라는건가
[Code: ea70]
2024.06.23 00:31
ㅇㅇ
모바일
진짜로 비타민을 파괴하는 거였다면 체내 비타민은 어떻게 됐겠냐고요...상식적으로 좀만 생각해봐도 말이 안되는 건데 << 조심스러운데 이 말은 반박의 여지가 있는 게 생각보다 많은 식품에 비타민을 파괴하거나 단백질의 활용을 저해하는 물질이 많이 들어있음. 섭취자(주로 인간을 상정)로 하여금 영양소를 활용할 수 없게 한다는 의미로 항영양소antinutrient라고 부르는 물질인데 당장 유명한 thiaminase만 해도 티아민(비타민B1)을 분해해서 비타민으로서 흡수되지 못하게 하는 항영양소임. 생각보다 이런 물질들 많고 일반인들에겐 문제가 안 되지만 절대적 섭취량이 부족한 경우나 환자들의 경우에는 이런 게 문제가 되기도 함.
[Code: b5ee]
2024.06.23 00:32
ㅇㅇ
모바일
본문처럼 비타민C(아스코르브산)가 파괴(변성) 되어 DHA가 되어도 여전히 인간이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이에 든 아스코르비네이스가 문제가 안 되는거지 엄밀히 말하면 아스코르브산이 파괴되는 건 맞고, 내가 언급한 사례처럼 파괴되었을 때 인간이 활용할 수 없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채소를 섭취했을 때 이득만 있고 해악은 없을 거라는 게 상식적인 일은 아님. 당장 쓴 맛 나는 많은 채소만 해도 알칼로이드 성분이 원인인데 이건 인간이 적당히 먹어서 문제가 안 되는거지 보통은 자연계에서 식물이 스스로를 보호하는 독으로 여겨짐. 세상에 당연하거나 상식적으로 인간에게 먹히려고 존재하는 생명체는 없음
[Code: b5ee]
2024.06.23 00:54
ㅇㅇ
모바일
ㄱㅆ 아 그치 물론 실제로 체내 영양소를 분해하는 작용을 하는 음식은 꽤 있지.. 그런 측면에서 보면 본문 막줄은 좀 잘못 쓴 표현이라고 할 수 있을듯. 근데 '엄밀히 말하면 파괴되는 건 맞다' 이 말은 사실이 아니지. 왜냐하면 아스코르브산이 산화된 디하이드로아스코르브산은 체내 세포에서 싸이올에 의해 다시 아스코르브산으로 환원되니까. '성질이 변하고 체내 작용에 의해 다시 원 상태로 변환된다'를 우린 '파괴된다'라고 말하지 않잖아
[Code: c79e]
2024.06.23 01:02
ㅇㅇ
모바일
내가 말한 파괴는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의미하는 영 못 쓰게 됐다는 의미가 아니라 원구조가 변화했다는 말임. 아스코르브산이 산화되는 순간 카보닐기에 변화가 생기니까 걔는 더이상 아스코르브산은 아닌거라는 의미였음. 디하이드로라는 접두사가 의미하듯이 아스코르브산이 아니게 된 그 상태를 아스코르브산의 파괴라고 본 거임
[Code: e9ef]
2024.06.23 01:16
ㅇㅇ
모바일
통상적인 의미의 파괴가 아니라 원구조가 변화했다는 거면 애초에 '파괴되는 건 맞다' 라는 표현을 쓰면 안되지...본문 짤도 그렇고 사람들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개념은 '비타민c가 분해되어 못 쓰게 되어버린다'는 의미의 파괴잖아. 애초에 비타민c의 정의 자체가 환원형의 아스코르브산과 산화형의 디하이드로아스코르브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도 하고, 이 두 물질은 상호 전환이 가능한데 상호 전환이 가능한 물질로의 변성 현상을 '파괴'라고 지칭하는 건 엄밀히 말해서 혼동을 줄 수 있는 옳지 않은 표현이라고 생각함
[Code: 435b]
2024.06.23 01:42
ㅇㅇ
모바일
비타민c는 아스코르브산과 디하이드로아스코르브산을 모두 포함한다는 게 혹시 어디서 나온 말인지 물어봐도 될까? 비타민C는 아스코르브산의 관용명임... 디하이드로아스코르브산은 oxidized form of vitamin C라고 표현할만큼 환원형인 아스코르브산을 비타민C라고 하지 산화형이 체내에서 전환되어 가용형태로 바뀐다고 해서 산화형 환원형 전체를 비타민C로 통칭하지 않음... 또한 화학 분과에서 가역적 변화에 대해서도 파괴라는 말을 쓰고 (A에서 B로의 변화는 A로의 수복을 포함하건 말건 A의 파괴로 표현) 거기에 어떤 가치판단적 의미는 없음... 아스코르비네이스가 비타민C를 ‘못쓰게’ 파괴한다는 의미는 틀린 게 맞지만...
[Code: e9ef]
2024.06.23 01:47
ㅇㅇ
모바일
The name "vitamin C" always refers to the l-enantiomer of ascorbic acid and its oxidized form, dehydroascorbate (DHA).
Marriott MP, Birt DF, Stallings VA, Yates AA, eds. (2020). "Vitamin C". Present Knowledge in Nutrition, Eleventh Edition. London, United Kingdom: Academic Press (Elsevier). pp. 155–70. ISBN 978-0-323-66162-1.
[Code: 435b]
2024.06.23 01:52
ㅇㅇ
모바일
매우 interesting한데
[Code: 01cd]
2024.06.23 00:48
ㅇㅇ
오이 존맛
[Code: 6da3]
2024.06.23 01:24
ㅇㅇ
그치그치 보석상이 오이먹었지
[Code: 95a2]
2024.06.23 01:26
ㅇㅇ
모바일
Broken down을 오역했나?
[Code: 2312]
2024.06.23 01:56
ㅇㅇ
모바일
암튼 오이먹는게 좋다는거지?
[Code: fa8f]
2024.06.23 04:10
ㅇㅇ
모바일
오이오이 믿고있었다구~!
[Code: 7194]
댓글 작성 권한이 없음